본문 바로가기
돈, 경제 공부

30대 직장인 생애최초 특공 도전기: 세대분리로 청약 자격 만들기

by 링나나 2025. 5. 6.

“내 나이 서른여섯, 이제는 내 집 마련을 해야 할 때인가?”

최근 들어 친구들 모임에서 빠지지 않는 주제가 청약입니다. 특히 ‘생애최초 특별공급(특공)’은 무주택자들에게 큰 기회로 여겨지죠. 저 역시 1990년생, 올해 36살로 본격적으로 청약에 도전해보려 마음을 먹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현재 어머니 소유 자가에서 세대주로 살고 있다는 점이었어요.

처음엔 이렇게 생각했죠.
“나는 세대주고, 무주택자니까 생애최초 특공 자격 되겠지?”

하지만 알아보니 청약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았습니다.

 

30대 직장인 생애최초 특공 도전기
30대 직장인 생애최초 특공 도전기

 


 

✅ 생애최초 특별공급 자격, 무주택 기준은 ‘세대 전체’

생애최초 특별공급은 본인뿐 아니라 세대원 모두가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즉, 현재 세대에 속한 어머니가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면, 내가 세대주라고 해도 무주택 세대가 아니어서 생애최초 특공 자격이 안 됩니다.

 

💡 세대분리하면 자격이 생길까?

맞습니다. 어머니와 세대를 분리해서 독립 세대를 구성하면, 본인 기준으로 무주택 세대주가 되어 생애최초 특공 신청이 가능해집니다. 다만 세대분리는 주민등록상 전입신고만으로 되는 게 아니고, 실제 거주지 분리, 독립 생계 유지 요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형식적인 분리는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 세대원 주택 보유 → 일반공급 무주택기간도 인정 불가

생애최초 특공뿐 아니라 일반공급 청약에서 중요한 ‘무주택 기간’ 역시 세대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따라서 세대원인 어머니가 주택을 가지고 있으면, 내 무주택기간은 0년으로 계산됩니다. 가점 경쟁에서 크게 밀릴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 결국 나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 ① 어머니와 세대분리를 해서 생애최초 특공에 도전하거나,
  • ② 추첨제 물량(전용 85㎡ 초과)에서 가점을 무시하고 청약하거나,
  • ③ 분양권 매수나 기존 아파트 매매를 고민해야 합니다.

 


 

청약은 준비와 기다림의 싸움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내 상황에 맞게, 그리고 가족 상황까지 고려해서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수입니다.

 


📌 생애최초 특공 핵심 정리

  • 본인 + 세대원 전원 무주택
  • 세대주 요건
  • 혼인 이력·자녀 여부는 무관
  • 소득·자산 요건 충족 필요
  • 청약통장 가입 12개월 이상, 예치금 충족

요즘 부동산 시장에서 청약만이 답은 아닙니다. 하지만 조건이 된다면 생애최초 특별공급은 한 번쯤 도전해볼 만한 기회입니다. 저처럼 고민 중인 분들이 있다면, 세대 구성부터 점검하고 지금 청약홈에서 자격 조회부터 해보는 걸 추천합니다. 한 걸음 먼저 준비하면, 기회는 생각보다 빨리 올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