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며칠 전, 우연히 한 강연을 들으러 갔다가 강연 중간에 보람상조에서 상조 상품 설명을 해주는 시간이 있었어요. 평소엔 큰 관심 없던 분야였는데, 막상 설명을 들으니 *“월 19,000원, 이만 원도 안 되는 가격으로 미래를 대비할 수 있다”*는 말에 귀가 솔깃해지더라고요.
게다가 물가 상승률까지 생각하면 20년 뒤에는 지금 이 가격이 정말 저렴한 게 될 수도 있겠다 싶었어요. 단순한 장례 서비스뿐 아니라 웨딩, 크루즈 여행 상품, 펫 장래 등 으로도 전환 가능하다고 하니 ‘재테크 겸 준비’의 느낌도 있었고요.
그래서 큰 고민 없이 그 자리에서 1구좌 가입을 했어요.
하지만... 이틀 뒤, 바로 해지했습니다.
왜 그렇게 빠르게 마음을 바꿨는지, 오늘 그 이유를 솔직하게 풀어보려 해요. 혹시 저처럼 상조 상품 고민 중인 분들이라면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 내가 보람상조에 가입한 이유
- 미래 대비
언젠가는 가족 중 누군가 혹은 나에게 필요할 일이니까, 미리 준비해두면 마음이 편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 월 부담금이 낮다
한 달에 19,000원이면 커피 몇 잔 안 마시면 되는 금액이라서 부담도 적었고요. - 재테크적인 접근
‘지금 가입해두면 훗날 혜택이 더 커질 수도 있겠다’는 말에 혹했어요.
예를 들어 장례비는 10년 뒤 더 오를 테니, 지금 이 가격에 고정하면 싸게 준비하는 셈이니까요.
❌ 그런데 왜 해지했을까?
- 상품 설명이 너무 애매하다
전화 상담에서는 *“다양한 용도로 전환 가능하다”*고 설명했지만, 실제로 계약서에는 전환 조건이나 방식이 구체적으로 적혀 있지 않았어요.
‘이거, 나중에 진짜 전환되긴 하는 걸까?’ 싶은 불신이 생기더라고요. - 해지 시 손해가 너무 크다
100% 해지시 원금을 돌려 받는다고 설명하셨지만 그건 20년 뒤 만기 납입 후 얘기입니다. 20년 후 전체 환급을 받는다고 해도 물가상승률을 봤을땐 완전 손해죠. 상품에 따라 해지 환급율이 다르니 가입설명서 또는 계약서를 확인해 보세요. 만약 몇 년 내에 해지하게 되면 환급금이 거의 없거나, 납입금 대비 너무 적은 금액만 돌려받을 수 있었어요.
묶이는 돈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 그 돈으로 더 유연한 재테크가 가능하다
월 19,000원이면 1년에 228,000원. 5년이면 114만 원이에요.
그 돈을 차라리 ETF, CMA, 적금 등에 굴리는 게 더 나을 것 같다는 판단이 들었어요.
💡 그럼 상조 준비는 어떻게 해야 할까?
보람상조를 해지한 후, 나름대로 조금 더 유연한 방식으로 미래를 준비해보기로 했어요.
- ETF 투자
안정적인 배당 ETF나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지수 ETF에 소액부터 투자해요. - CMA 통장 활용
급전이 필요할 수도 있는 상황을 대비해서, 자유롭게 입출금하면서도 약간의 이자 수익이 있는 CMA 계좌를 사용 중이에요. - 정기적금 자동이체
미래를 위한 목돈 마련은 여전히 중요하니까, 매달 일정 금액을 자동이체해서 정기적금에 넣고 있어요. - 필요시 정식 장례 컨설팅 업체 탐색
정말 필요해졌을 때 믿을 만한 장례 전문 업체를 따로 알아보는 게 낫다는 판단이에요.
아직 부모님 건강하실 때 여러 옵션을 비교해보는 게 현명한 것 같아요. - 중고(당근마켓) 사이트 거래
구좌를 중고사이트에서 판매해 양도 받을 수 있어요.
✔ 마무리하며
보람상조 상품 자체가 나쁘다고 할 순 없어요.
어떤 사람에게는 정말 잘 맞을 수도 있고, 막막한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저처럼 유연한 자금 운용을 선호하고, 상품의 조건이 명확하길 바라는 사람이라면 한 번 더 고민해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혹시 상조 상품 고민 중이시라면, 저의 경험이 작은 참고가 되길 바라요. 🙏
'돈, 경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억 원대 업무용 오피스텔 매입 시 알아야 할 세금과 행정사항 총정리! (3) | 2025.04.30 |
---|---|
단기임대 플랫폼 추천 & 비교 | 에어비앤비부터 리브애니웨어까지 총정리! (2) | 2025.04.23 |
20대가 당장 시작할 수 있는 현실적인 재테크 방법 5가지 (11) | 2025.04.11 |
30대 중반 미혼 여성 1억으로 재테크 하기 (3) | 2025.04.07 |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유튜버 추천 (링크 포함) (2)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