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경제 공부

보람상조 1구좌 가입 후 해지한 후기 이유

by 링나나 2025. 4. 20.

 
안녕하세요,
며칠 전, 우연히 한 강연을 들으러 갔다가 강연 중간에  보람상조에서 상조 상품 설명을 해주는 시간이 있었어요. 평소엔 큰 관심 없던 분야였는데, 막상 설명을 들으니 *“월 19,000원, 이만 원도 안 되는 가격으로 미래를 대비할 수 있다”*는 말에 귀가 솔깃해지더라고요.
게다가 물가 상승률까지 생각하면 20년 뒤에는 지금 이 가격이 정말 저렴한 게 될 수도 있겠다 싶었어요. 단순한 장례 서비스뿐 아니라 웨딩, 크루즈 여행 상품, 펫 장래 등 으로도 전환 가능하다고 하니 ‘재테크 겸 준비’의 느낌도 있었고요.
그래서 큰 고민 없이 그 자리에서 1구좌 가입을 했어요.
하지만... 이틀 뒤, 바로 해지했습니다.
왜 그렇게 빠르게 마음을 바꿨는지, 오늘 그 이유를 솔직하게 풀어보려 해요. 혹시 저처럼 상조 상품 고민 중인 분들이라면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보람상조 1구좌 가입 후 해지한 후기 이유

 
 
 
 

📌 내가 보람상조에 가입한 이유

  1. 미래 대비
    언젠가는 가족 중 누군가 혹은 나에게 필요할 일이니까, 미리 준비해두면 마음이 편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2. 월 부담금이 낮다
    한 달에 19,000원이면 커피 몇 잔 안 마시면 되는 금액이라서 부담도 적었고요.
  3. 재테크적인 접근
    ‘지금 가입해두면 훗날 혜택이 더 커질 수도 있겠다’는 말에 혹했어요.
    예를 들어 장례비는 10년 뒤 더 오를 테니, 지금 이 가격에 고정하면 싸게 준비하는 셈이니까요.

 

❌ 그런데 왜 해지했을까?

  1. 상품 설명이 너무 애매하다
    전화 상담에서는 *“다양한 용도로 전환 가능하다”*고 설명했지만, 실제로 계약서에는 전환 조건이나 방식이 구체적으로 적혀 있지 않았어요.
    ‘이거, 나중에 진짜 전환되긴 하는 걸까?’ 싶은 불신이 생기더라고요.
  2. 해지 시 손해가 너무 크다
    100% 해지시 원금을 돌려 받는다고 설명하셨지만 그건 20년 뒤 만기 납입 후 얘기입니다. 20년 후 전체 환급을 받는다고 해도 물가상승률을 봤을땐 완전 손해죠. 상품에 따라 해지 환급율이 다르니 가입설명서 또는 계약서를 확인해 보세요. 만약 몇 년 내에 해지하게 되면 환급금이 거의 없거나, 납입금 대비 너무 적은 금액만 돌려받을 수 있었어요.
    묶이는 돈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3. 그 돈으로 더 유연한 재테크가 가능하다
    월 19,000원이면 1년에 228,000원. 5년이면 114만 원이에요.
    그 돈을 차라리 ETF, CMA, 적금 등에 굴리는 게 더 나을 것 같다는 판단이 들었어요.

 


💡 그럼 상조 준비는 어떻게 해야 할까?

보람상조를 해지한 후, 나름대로 조금 더 유연한 방식으로 미래를 준비해보기로 했어요.

  1. ETF 투자
    안정적인 배당 ETF나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지수 ETF에 소액부터 투자해요.
  2. CMA 통장 활용
    급전이 필요할 수도 있는 상황을 대비해서, 자유롭게 입출금하면서도 약간의 이자 수익이 있는 CMA 계좌를 사용 중이에요.
  3. 정기적금 자동이체
    미래를 위한 목돈 마련은 여전히 중요하니까, 매달 일정 금액을 자동이체해서 정기적금에 넣고 있어요.
  4. 필요시 정식 장례 컨설팅 업체 탐색
    정말 필요해졌을 때 믿을 만한 장례 전문 업체를 따로 알아보는 게 낫다는 판단이에요.
    아직 부모님 건강하실 때 여러 옵션을 비교해보는 게 현명한 것 같아요.
  5. 중고(당근마켓) 사이트 거래

  구좌를 중고사이트에서 판매해 양도 받을 수 있어요.

 
 

✔ 마무리하며

보람상조 상품 자체가 나쁘다고 할 순 없어요.
어떤 사람에게는 정말 잘 맞을 수도 있고, 막막한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저처럼 유연한 자금 운용을 선호하고, 상품의 조건이 명확하길 바라는 사람이라면 한 번 더 고민해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혹시 상조 상품 고민 중이시라면, 저의 경험이 작은 참고가 되길 바라요. 🙏